[대중교통 할인 극대화] K패스 교통카드 신청 : 후불카드 발급 카드사 혜택 정리!

K패스 교통카드는 5월1일부터 시행되는 대중교통 할인 정책입니다. 4월24일부터 신규 카드 접수가 시행되며 다양한 혜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중교통을 사용하는 국민이라면 반드시 신청해야 하는 K패스는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관련 내용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K패스 교통카드 소개

k패스 교통카드

국토교통부에서 진행중인 정책 사업 중 하나로 월에 최소 15회 이상 사용시, 월 60회 사용분까지 마일리지로 적립해주며, 전국 모든 대중교통 사용분에 대해서 적립이 가능합니다.

5월 1일부터 적용되는 K패스의 적립된 마일리지는 대중교통 요금을 결제할 때 자동으로 사용이 됩니다. 하차 태그가 제대로 완료되어야 적립되기 때문에 하차시 반드시 태그를 해주셔야 합니다.

다만, 월에 사용하는 대중교통 횟수가 15회 미만이라면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K패스 교통카드 적립률 비교

해당 정책은 지원 계층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적립률을 갖고 있습니다. 일반, 청년, 저소득 등 3가지로 구분되며 차등되는 적립률을 적용 받습니다.

  • 일반층 : 적립률 20%
  • 청년층 : 적립률 30%
  • 저소득층 : 적립률 53%

1500원을 기준으로 일반층은 300원, 청년층은, 450원, 저소득층은, 795원을 추후에 적립 받게 됩니다.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한다는 점은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용하는 대중교통의 기본 요금 1400원~2500원 각 구간에 해당하는 할인 요금을 확인하시고, 1달에 대략 어느 정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 신청(카드사 비교)

이번 정책에는 다양한 카드사가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10개 이상의 카드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 드린 기본 적립 외에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카드사에서 대중교통 10% 할인은 제공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부분만 확인하셔서 본인에게 가장 알맞은 카드를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각 카드사마다 다른 디자인을 갖고 있으니 디자인도 본인에 취향에 맞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민 : 대중교통 10% 할인, 생활서비스 5% 할인

k패스 국민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
  • 생활서비스 5% 할인(커피, 휴대폰 자동납부, 영화, 편의점 등)
  • KB Pay 이용시 5% 추가 할인 등

삼성 : 대중교통 10% 결제일 할인, 커피전문점 20% 결제일 할인

k패스 삼성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결제일 환급)
  • 커피전문점 20% 할인(결제일 환급)
  • 디지털컨텐츠 20% 할인(결제일 환급)
  • 온라인 쇼핑 3% 결제일 할인

신한 :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10% 추가 할인, 간편결제 추가 할인

k패스 교통카드(신한카드)
  • 대중교통 10% 할인
  • 간편결제 5% 할인
  • 생활서비스 5% 할인(배민, 편의점, OTT 등)

우리 : 대중교통 10% 청구할인, 스타벅스 10% 청구할인

K패스 교통카드 우리카드
  • 대중교통 10% 청구할인
  • 주요 자동납부 10% 청구할인
  • 스타벅스 10% 청구할인

K패스 홈페이지는?

기존에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K패스로 회원 전환 절차를 진행해야 하며, 신규 가입자는 카드를 발급받고 K패스 신규 회원 가입을 반드시 진행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누리집 홈페이지를 통해서 전환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5월 1일 이후 가입자는 K패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가입이 가능하며, 현재 임시페이지로 오픈이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후불교통카드 발급에 관한 카드사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후 홈페이지가 정식 오픈되면 다양한 정보 및 소식들이 업데이트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 번씩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알려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 0

가장 먼저 게시물 평가를 해보세요.

error: 우클릭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