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은 금액은? 중도해지해도 이자 지급이 가능하다고?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금액이 궁금하신가요? 최근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정부는 또 다른 청년 지원책으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습니다. 아직 시행된지 오래 되지 않은 만큼 다양한 궁금증들이 많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최소 일시납입 금액부터 추가 혜택까지 쉽게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 소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의 2년 만기가 돌아오면서 정부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청년 지원 정책 중에 하나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19세~34세 국민 중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의 청년이 매월 최대 50만원을 적금 형태로 납부하면서 정부 정책 지원금이 합쳐져 총 9.3%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매우 좋은 상품이었습니다.

이러한 적금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청년층에게 추가적인 혜택을 주고자 신규 정책이 발표됐으며, 조금 더 중장기인 5년의 가입기간으로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KB, NH, 신한, 우리은행 등 다양한 은행사를 통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혜택

도약계좌는 이전 희망적금을 연계해서 가입신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신규로 가입도 가능하며 최근 다양한 정책적 변화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정책 지원과 비슷하게 청년이 납입한 금액에 정부에서 추가적으로 소득계층별로 기여금을 제공하게 됩니다. 즉, 청년 납부금+정부기여금+이자로 만기시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우대금리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득별 정부기여금은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단, 총급여 6000만원 초과되는 경우 정부기여금은 수령할 수 없으니 이점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최소 금액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최소 금액은 200만원 입니다. 청년희망적금에서 갈아타기를 하려고 하는 경우 적금 만기금액을 모두 납부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신청하지 않는데, 200만원 이상의 금액을 원하는 만큼 납입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만약 만기로 1,000만원을 수령했을 경우, 400만원은 희망적금으로 갈아타고 600만원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부담이 없습니다.

일시납입을 진행하는 경우 만기액을 40, 50, 60, 70만원의 배수로 설정하게 됩니다. 즉, 만기금액 중 600만원을 일시납입을 원하는 경우 40만원 x 15개월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 동안은 추가 금액 납입이 불가능합니다.

일시납입 기간이 종료되면 매월 1000원~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며, 중간에 납입을 빼먹더라도 적금처럼 해지되거나 하지 않습니다.


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연장 뿐만 아닌 신규 가입도 가능한데 가입 조건은 같습니다.

  • 만 19세~34세 이하(가입일 기준, 군복무 기간은 제외하고 계산)
  •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청년도약계좌 조건

해당 기준표는 2022년 기준이기 때문에, 2023년은 다소 상향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가 필요한 경우

청년도약계좌를 중도해지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최근 이를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정책이 변경됐습니다.

우선 5년 만기를 반드시 채워야 정부기여금을 지급하는 것이 최소 3년으로 변경됐습니다.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게 되면 비과세가 그대로 적용되며, 정부기여금도 60% 수준까지는 지급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됐습니다.

또한,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 ‘출산’이 포함되어 해당 사유 발생시에는 비과세 및 정부기여금을 100%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포함된 특별중도해지 사유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알려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 0

가장 먼저 게시물 평가를 해보세요.

error: 우클릭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