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텍 주가 전망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심텍은 2022년 3월 고점을 달성한 후, 현재 주가는 약 50%가량 하락한 27,000원 구간에 머물고 있습니다. 심텍 주가는 언제쯤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이번 칼럼에서는 심텍의 차트, 재무제표, 뉴스 및 실적 분석을 통해 향후 주가 전망을 제공합니다.
칼럼 순서
심텍 차트 분석
심텍 주가 분석을 위해 주봉과 일봉을 분리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주봉은 6개월 이상의 주가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일봉은 단기간 주가의 흐름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심텍 주봉
심텍은 2015년 상장 이후, 2020년까지 약 5년간 4,800원~13,600원 사이의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 중순 박스권을 돌파하는 흐름을 보여준 이후에 58,000원 구간까지 시세를 만들어내면서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심텍 주봉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오랜 기간 박스권에서 횡보하던 주가가 박스권을 돌파하는 흐름을 보여주면 그 이후에 주가는 탄력을 받아 크게 상승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텍 주가 전망을 위해 2022년 고점에서의 거래량을 보면, 이전 구간(2015~2020년)에서 심텍을 매수한 거래량 대비 매도하는 거래량(노란색 원)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가의 고점에서 만들어지는 쌍봉이나 헤드앤숄더의 패턴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심텍은 향후 주가가 재차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는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현재 주봉 기준으로 25,000원 구간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이 구간을 이탈한다면 다음의 가장 강력한 지지 구간은 길었던 박스권을 형성했던 13,600원 구간입니다.
심텍 일봉
추가적으로 일봉을 통한 심텍 주가 분석으로, 보유자들의 대응 방법과 신규 매수자들을 위한 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주가는 25,000원~33,000원의 작은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주봉에서 이미 얘기한 것처럼 주가가 만약 33,000원의 박스권을 돌파하는 흐름의 나온다면 향후 주가는 상승으로 움직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33,000원 박스권을 돌파한다면, 1차 목표가는 43,000원 구간으로 30% 정도 상승 가능 구간이 있으며 2차 목표가는 50,000원 구간입니다.
또한, 현재 33,000원 근처에 장기 이평선과 볼린저 밴드 상한선도 함께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매우 강력한 저항으로 이 구간을 돌파하는 것 역시 주가의 상승 확률이 높아지는 근거입니다.
따라서 비보유자의 경우에는 2가지 전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박스권 매매, 2만5천원 손절, 3만3천원 익절 대응
- 3만3천원 돌파까지 대기, 돌파 확인 후 매수
박스권 매매보다, 돌파 흐름이 나오고 주가 방향성이 상승으로 바뀐 것을 확인하고 진입하는 것이 확률 및 승률이 더 높습니다.
보유자의 경우에는, 평균 단가를 최대한 낮추는 작업이 필요한데 25,000원 이탈 시 다음 지지구간이 13,600원으로 하락 가능한 폭이 넓습니다.
현재 손실%와, 손실 금액이 본인이 감내할 수준이라면 25,000원 이탈 시 손절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고, 13,600원 구간에서 다시 매수에 참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심텍 재무제표 분석
다음은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심텍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매출액(억) | 12,014 | 13,658 | 16,975 | 10,772 | 13,384 | 14,442 |
영업이익(억) | 897 | 1,743 | 3,524 | -3 | 1,577 | 1,675 |
당기순이익(억) | 565 | 1,183 | 2,461 | 1 | 1,176 | 1,260 |
부채비율(%) | 170 | 124 | 106 | 90 | 77 | 78 |
유보율(%) | 1,586 | 2,121 | 3,475 | |||
발행 주식 수(천) | 31,854 | 31,854 | 31,854 |
현재 심텍의 시가 총액은 8,600억으로 코스닥150에 편입되어 있는 종목입니다.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면 2022년 최대 실적을 달성한 후, 2023년 다소 저조한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실적은 SiP 기판과 같은 고부가가치 부품인 MSAP 기판의 판매 증가로 인한 것으로, Covid-19 등의 쉽지 않은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제품 경쟁력을 통해 우수한 반도체 기업인 것을 스스로 증명해냈습니다.
이러한 실적을 주가는 이미 반영해서, 2022년 고점을 달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023년 다소 저조한 실적을 예상하며 주가가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4년부터는 실적이 회복세에 돌입하며 주가는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유보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보율의 증가는 글로벌 위기 또는 회사의 위기 발생 시, 유상증자 또는 채무 발행 없이 자금을 수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심텍 뉴스 및 재료 분석
심텍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키옥시아,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 대부분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향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뉴스 및 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차세대 제품 개발 지속 투자
- 지속적인 설비 증설
- 수익성 다양화
먼저 심텍은 자체적인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Automotive 전용 기판, e-Cavity 기판, SUTC 기판 등 차세대 제품을 개발을 진행 중이며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텍은 2025년까지 청주산업단지 내 유휴 공간에 차세대 인쇄회로 기판 제조 공장 증설할 예정입니다. 2023년 초 제9공장을 완공했는데, 추가적인 시스템 반도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장 증설입니다.
향후 이러한 공급 물량의 증가는, 실적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심텍 주가 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심텍은 수익성 확보를 위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지속 변환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실적이 집중되어 있었는데, 이를 비메모리 분야로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도 지속 중입니다.
심텍 주가 전망
지금까지 차트, 재무제표, 뉴스 및 재료 분석을 통해 향후 심텍 주가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현재 반도체 산업은 전체적인 하향 사이클로 심텍뿐만 아닌 대부분의 반도체 관련주가 오랜 시간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증권사 리포트 분석 등에서도 2023년 3분기 이후부터는 반도체 산업 사이클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회복세에 들어서면, 뛰어난 기술력과 글로벌 반도체 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갖고 있는 심텍은 독보적인 회복세를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차트에서도 단기 바닥권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흐름을 볼 수 있으며, 실적도 2023년 후반기부터 회복할 가능성, 기업은 꾸준한 설비 투자 및 R&D 연구를 봤을 때 향후 심텍 주가 전망은 긍정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를 대표하는 산업 군인 반도체가 어서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국내 증시에 훈풍이 불어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언급된 모든 데이터와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거래 또는 금융 투자 권유 목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발생한 어떠한 손실에도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