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리움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가상의 우주 천체를 만들어 별똥별, 별자리, 행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오픈소스 서비스입니다. 실제 천문학에서 관찰하거나 등록되어 있는 천체들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웹에서 바로 실행도 가능하며 모바일 다운로드를 통해서 핸드폰에서 쉽게 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Stellarirum을 통해서 천체 지식을 키울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 소개
스텔라리움은 실제 천문학에 등록되어 있는 항성, 딥스카이 천체, 별자리 등의 수많은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실제 현실감 있는 대기도 재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프로그램으로 다국어 버전을 지원하고 있으며 시간 설정도 가능하며, 줌 기능을 통해서 별자리, 항성들의 위치를 보다 자세하고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을 통해서 천문학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교육용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천체를 관측하는 사람들 역시 이를 기반으로 관측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정확한 천체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텔라리움 웹(Stellarium)
기본적으로 웹 버전과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하는 2가지 버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웹 버전은 빠른 설치 없이 기본적인 서비스를 미리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천체를 표시해주게 되며, 별자리 등을 위의 그림과 같이 직접적으로 표시해줘서 천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주로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우주, 천체 수업 등에 웹 버전을 활용해서 참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텔라리움 다운로드 사양
보다 전문적으로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가 필요합니다. 시간 조정, 원형 거울 영사, 3D 풍경, 인공위성 플러그인 시스템 등을 활용하는 기능은 웹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다운로드 버전에서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일정 수준 이상의 컴퓨터 사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최소 사양과 추천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소 사양 | 추천 사양 | |
운영체제 | 윈도우 7이상 | 윈도우 10이상(64비트) |
그래픽 카드 | OpenGL 2.1 이상 지원 | OpenGL 3.0 이상 3D 카드 |
RAM | 512MB 이상 | 1GB 이상 |
용량 | 600MB 이상 | 1.5GB 이상 |
추가 환경 | – | 어두운 환경 |
최소 사양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나, 3D 풍경 등 3D 작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추천 사양에 해당하는 컴퓨터 환경이 필요합니다. Linux, macOS, Windows에서 모두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 모바일 다운로드
스텔라리움의 가장 큰 장점은 모바일 버전도 제공하고 있는 점입니다. 특히, 최근 캠핑 인구가 늘어나면서 야간에 하늘의 별을 보는 경우가 꽤 많아졌습니다.
이때 모바일 다운로드를 통해 카메라로 하늘을 비추는것만으로 별자리, 행성, 위성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기본적인 설명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야간 모드, 시뮬레이션 모드 등 다양한 모드도 제공하고 있어 저녁 시간에 하늘 관찰을 매우 재미있는 시간으로 바꿔줄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 모두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