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칼럼은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에 대한 세부 분석입니다. 2011년 이후 급격히 하락한 삼성엔지니어링 주식 가격이 반등에 성공해 현재 29,000원 구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가능할까요? 차트, 재무제표, 뉴스 및 재료 분석을 통해 목표주가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칼럼 순서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분석
이번 칼럼에서는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분석을 위해 차트, 재무제표, 뉴스 및 재료를 하나씩 살펴볼 예정입니다. 현재 29,000원 부근은 삼성엔지니어링 주식은 향후 상승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2024년 말까지 주가의 움직임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삼성엔지니어링 차트 분석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을 위해 가장 먼저 분석해 볼 지표는 차트입니다. 차트는 기본적으로 재무제표와 뉴스를 선반영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주식의 향후 방향성을 평가하는 좋은 지표입니다.
위 차트는 주봉 차트로, 주봉은 6개월 이상의 중장기적인 주가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략적으로 2024년 말까지의 주가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2011년 170,000원까지 상승했던 삼성엔지니어링 주식은 2020년 3월 6,600원까지 하락하며 엄청난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6,600원을 기점으로 주가는 반등에 성공했으며 현재 29,000원 부근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2023년 초까지 약 2년간 삼성엔지니어링의 주가는 18,300원~27,400원의 박스권을 만들며 횡보하기 시작합니다. 박스권의 형성은 주가의 방향성을 만들지 않고, 개인들을 매우 지루하게 만들어서 해당 주식을 매도하게 만들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즉, 박스권 상단 또는 하단으로 주가가 돌파했을 때는 해당 방향으로 주가의 방향성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023년 3월 삼성엔지니어링의 주가는 27,400원을 돌파하며 주가의 방향성이 상승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주봉에서 가장 중요한 가격 라인은 박스권의 하단 구간이었던 18,300원 구간입니다. 이 구간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1차 목표가인 39,000원~43,000원 구간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다시 조정 이후, 강력한 매물대가 존재하고 있는 50,000원 구간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0,000원 구간은 강한 매물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주가의 변동폭과, 지루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주봉의 박스권 하단인 18,300원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다음 지지 라인은 14,000원 구간이며 주가가 다시 상승의 흐름이 만들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삼성엔지니어링 재무제표 분석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을 위해 재무제표를 살펴보겠습니다.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매출액(억) | 74,867 | 100,543 | 107,613 | 111,348 | 113,839 |
영업이익(억) | 5,033 | 7,029 | 8,092 | 8,181 | 8,332 |
당기순이익(억) | 3,511 | 5,953 | 6,204 | 6,262 | 6,410 |
부채비율(%) | 209 | 204 | 170 | 144 | 126 |
유보율(%) | 104 | 174 | |||
발행주식수(천) | 196,000 | 196,000 |
2021년 실적이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이와 함께 주가도 2021년부터 반등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년 매출액 10조를 달성했으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도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23년~2025년간 예상 실적치를 보시면 어닝서프라이즈를 보여줄 만한 상승세는 보이지 않는 모습입니다. 예상 실적치가 그대로 나온다는 가정을 했을 경우, 주가는 지속해서 지루한 흐름을 보이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부채비율 204% 대비, 유보율이 174%로 안정적인 재무제표의 형태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1,000% 이상의 유보율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금융, 바이오 관련 그룹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다소 아쉬운 부분입니다.
삼성엔지니어링 뉴스 및 재료 분석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에 영향을 미칠만한 뉴스 및 재료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시가 총액 5조 6,000억(주가 29,000원 기준)으로 코스피200에 편입되어 있는 기업입니다.
국내 건설 경기가 어려워지며, 다수의 국내 건설사들은 하반기에도 긍정적인 주가 전망이 나오지 않고 있으나 해외 사업 비중이 높은 기업들은 현재 가격이 매우 매력적인 가격대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네옴시티 등 해외 대형 프로젝트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 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삼성엔지니어링에게 현재 가격 구간은 밸류에이션 이하의 가격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엔지니어링의 주요 사업은 화공 플랜트 분야이지만, 비화공 플랜트 분야인 바이오 및 반도체 플랜트 등에서도 우수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련 뉴스] : 삼성엔지니어링, 비화공 사업 성장세 돋보인다
비화공 분야에서 눈에 띄는 점은 바이오 및 반도체 플랜트 분야인데, 2가지 모두 삼성 그룹의 현재 먹거리와 미래 먹거리에 모두 해당하는 분야입니다. 든든한 모기업이 뒷받침하고 있는 만큼 꾸준히 삼성 그룹과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물산과 함께 탄소중립을 위해 친환경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린수소(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해서 수소 생산)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시장 공략의 성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사업 투자계획의 50%인 780억을 수소 플랜트가 포함된 신사업 분야에 배치한 것도, 글로벌 화두인 탄소중립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 투자 중입니다. 그에 따라서 삼성엔지니어링은 사명 변경을 내부 검토 중에 있습니다.
[관련 뉴스] : 삼성엔지니어링, 그린수소 사업 및 탄소중립 목표 공략
삼성엔지니어링 목표주가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주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차트에서 살펴본 1차적인 목표주가는 40,000원 구간입니다. 2차 목표주가는 강력한 매물대가 있는 50,000원 구간입니다.
2023~2025년 예상 실적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할 만큼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적 증가보다는 대형 수주 등의 관련된 뉴스를 바탕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목하는 투자자가 많은 기업답게, 각 증권사의 리포트도 지속 발행되고 있습니다. 각 증권사의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교보증권 : 목표주가 39,000원
- 하나증권 : 목표주가 40,000원
- 이베스트증권 : 목표주가 37,000원
- 하이투자증권 : 목표주가 36,000원
- 유안타증권 : 목표주가 38,000원
증권사들은 36,000원~40,000원 구간의 목표주가를 제시하고 있으며, 차트에서 확인한 40,000원 구간과 유사한 구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증권사 대부분 비화공 분야의 약진을 눈여겨보고 있으며, 수주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수의 증권사에서도 지켜보고 있는 기업인만큼 꾸준한 관심을 갖고,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언급된 모든 데이터와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거래 또는 금융 투자 권유 목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발생한 어떠한 손실에도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