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5세 이상인 경우 국가에서 제공하는 임플란트 지원금을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은 어르신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1인당 2개의 임플란트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자격 및 조건을 확인하셔서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임플란트 지원금 신청하는 방법
임플란트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에서 요구하는 절차를 따라서 진행해야 합니다. 아래 사항을 반드시 숙지하시고 치과에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치과 진료후, 임플란트 급여대상자로 판정 받기
- 임플란트를 시술 받을 기관에 등록 신청
- 등록 확인 후, 임플란트 시술
우선 가까운 치과에 방문하셔서 임플란트 시술을 받아야 한다는 병원에 판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치과에서 ‘요양기관정보마당’에 대상자로 등록을 해주게 됩니다. 이후, 대상자로 등록된 것을 확인하고 치과에서 시술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노인 임플란트 지원금 대상
노인 임플란트 지원금 대상은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입니다. 2024년 현재 부분무치악 환자가 해당하며 완전무치악 환자는 아직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어금니, 앞니 등 이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이에 대한 임플란트가 지원 대상이며 1인당 평생 2개의 이까지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추가적인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보험이나, 지자체 정책을 통해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은?
임플란트 본인부담금은 기본적으로 총 비용의 30%입니다.
만약 500만원씩 3개의 임플란트를 진행한다면 건강보험 적용분 2개에 대해서는 30%인 300만원과 건강보험이 미적용분 1개 500만원을 더해서 총 800만원을 지출하게 됩니다.
추가로 차상위 대상자는 본인부담금이 10%~20%로 조정됩니다. 여기서 차상위 대상자는 희귀난치성질환자, 만성질환자, 의료급여대상자 1종, 2종 등을 말합니다.
차상위 대상자 | 본인 부담금 |
희귀난치성질환자 | 10% |
만성질환자 | 20% |
의료급여대상자 1종 | 10% |
의료급여대상자 2종 | 20% |
다만, 임플란트 시술시 일체형 식립재료, PFM 크라운 이외로 시술, 완전 무치악 환자 등의 경우에는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없으니 예외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렴한 임플란트 병원 찾는 방법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2개보다 많은 임플란트 시술을 원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급여진료비 정보’를 통해서 저렴한 임플란트 병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뿐만 아닌 물리치료, 예방접종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니 저렴한 가격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