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구글 스칼라 검색 팁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사이트는 수많은 논문을 검색 할 수 있는 사이트로 정확한 사용법을 모른다면 이용하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검색 연산자와 인용수 정렬을 통해 원하는 논문을 정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을 참고해서 원하는 논문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스칼라 검색 팁
구글 스칼라 검색 팁은 원하는 논문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필수적입니다. 해당 방법을 알고 검색하는 것과 모르고 검색하는 것은 검색 결과에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검색 방법은 ‘검색어’를 통한 검색입니다.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되는데 꼭 포함되어야 할 키워드 검색어는 큰 따옴표(” “) 사이에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알림 만들기를 통해 검색어와 이메일을 등록한다면 새로운 논문이 등록되면 이메일로 알려주는 기능도 있으니 이 방법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스칼라 검색 연산자
구글 스칼라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은 고급 검색 기능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어, 문구 등 원하는 것을 등록해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AND : 검색어 모두 포함
- OR : 검색어 중에 한개라도 포함
- intext : 논문의 본문에 해당 단어 포함
- intitle : 제목에 검색어가 포함
- author : 저자명을 포함
해당 검색 연산자를 사용해서 고급 검색을 진행하면 정확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 스칼라 사용법
구글 스칼라 사용법은 찾고자 하는 키워드 입력으로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영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이트이기 때문에 한글보다는 영어로 검색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내 서재’ 기능을 통해 원하는 논문을 저장할 수 있으며 ‘내 라이브러리’에서 모아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모은 자료는 ‘모두 내보내기’를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또한 각 논문의 ‘인용’을 클릭하시면 논문 작성에 사용된 레퍼런스를 모아서 볼 수 있으며 바로 다운로드도 가능하니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스칼라 인용수 정렬
인용수 정렬하는 방법은 파이썬을 이용한 크롤링을 통해 정렬하는 방법입니다. 단순히 인용횟수를 누르면 인용수 정렬이 정확히 되지 않습니다.
논문을 인용하는데 있어서 인용수를 통해 해당 논문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을 이용한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